청년내일저축계좌는 3년 동안 꾸준히 저축하면 정부가 월 최대 30만 원까지 더해주는 혜택이 있는 만큼, 중도 해지 시 불이익도 있습니다.
오늘은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는 질문, “중도 해지하면 정부지원금 다 뱉어내야 하나요?”에 대해 자세히 설명드릴게요.
👉 먼저 전체 제도가 궁금하다면:
청년내일저축계좌란? 3년 후 최대 1,440만원 받는 자산 형성 제도 완벽 정리
👉 내가 얼마 받을 수 있을지 궁금하다면:
청년내일저축계좌 얼마 받는지 계산해봤어요! 720만원 vs 1,440만원 차이 비교
중도 해지란?
중도 해지란, 계좌 개설 후 3년을 채우기 전에 본인의 사정으로 적립을 중단하고 계좌를 해지하는 것을 의미해요.
- 단순 실직, 이직, 휴직 등으로 인해 저축을 지속하지 못하는 경우 포함
- 사망, 질병, 해외이주 등 불가피한 사유도 있음
중도 해지 시 정부지원금 반환 원칙

기본적으로 중도 해지를 하면 정부가 지원해준 금액은 모두 환수됩니다.
- 본인이 납입한 원금(저축금)만 돌려받게 됩니다
- 이자는 일부 받을 수 있으나, 지원금은 소멸 또는 회수됩니다
📌 예를 들어,
- 10만 원씩 12개월간 저축 후 해지 → 본인 저축금 120만 원만 수령
- 정부지원금 120만 원은 환수 대상
예외적으로 지원금을 유지할 수 있는 경우
아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, 중도 해지여도 정부지원금을 일부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.
- 사망, 장기 요양, 중증 질병 등 불가피한 사유
- 군 입대, 해외 장기 파견
- 실직 후 소득이 없는 상태에서 자격 상실
이 경우 관련 증빙서류 제출 시, 일부 또는 전체 지원금이 인정될 수 있어요.
중도 해지 절차
- 복지로 또는 주민센터에 해지 신청
- 사유 확인 및 서류 제출
- 회수 대상 금액 확인 후 정산
※ 단순 자의적 중도 포기는 ‘자발적 해지’로 간주되며, 지원금 전액 회수
중도 해지 대신 적립 중지 제도도 있어요

- 일시적으로 소득이 없거나 저축이 어려울 땐, 적립 중지 신청도 가능합니다
- 최대 6개월까지 저축 유예 가능 (단, 사유서 및 증빙 필요)
👉 적립 중지와 해지의 차이는 다음 글에서 안내해드릴게요
정리
✅ 청년내일저축계좌는 3년 만기 유지 시 정부지원금 수령 가능
✅ 중도 해지 시 원칙적으로 정부지원금은 모두 환수됨
✅ 단, 불가피한 사유로 인정되면 예외 적용 가능
청년내일저축계좌는 정말 큰 혜택을 주는 제도인 만큼, 중도 해지를 고민하기 전에 적립 중지 제도 활용, 또는 지자체나 복지로 상담을 통해 유지할 방법을 먼저 찾아보는 걸 추천드려요.
👉 신청 절차부터 다시 보고 싶다면:
복지로 청년내일저축계좌 온라인 신청 방법 완전 정복 (2025년 기준)